연구보고서
- HOME
- 연구보고서
- KIDA Brief
- 국문 KIDA Brief
국문 KIDA Brief
제목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연계성 및 시사점 연구 |
---|---|
저자 | 강석율 |
연구센터 | 안보전략 |
발행년도 | 2021 |
첨부파일 | |
<배경과 목적>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연계성과 안보적 함의 분석 ◎ 중동 지역에 대한 미 군사력 운용 양상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영향을 매개로 한국 안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 ◎ 중동 전구 전략과의 연계성 부각을 통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지니는 전구 전략적 속성을 규명하고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와 대응 전략을 식별
<수행 결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연계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제시 ◎ 미국의 대중동 군사력 운용 양상은 인도-태평양 전략 실행 능력에 영향을 미침 - 중동 지역에서 미 해·공군력을 적극적으로 운용함에 따라 인도-태평양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미 해·공군력의 역량과 준비태세, 그리고 능력 구축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상호의존성이 강화되고 있음 - 인도-태평양 전략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중동 전략이 전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양 전략의 지원-피지원 관계 강화 차원에서 인도양의 전략적 중요성 부각 - 양 전략의 연계를 위하여 미 군사력의 역동적 운용이 본격화되고, 반접근·지역거부 위협에 대응한 혁신적 작전개념이 대중동 군사력 운용에도 투영될 것으로 전망 ◎ 우리 군은 양 전략의 연계성이 시사하는 안보적 함의를 식별하고 대응 전략 준비 필요 - 중동 지역에서 한미동맹 차원의 역할을 모색하는 접근법의 추진 - 미 군사력 운용 능력의 제약과 역동적 군사력 운용 본격화를 고려한 대응 전략의 수립 - 미 지상군의 화력 강화와 혁신적 작전개념이 시사하는 안보적 함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저자 소개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한미동맹, 미국 안보국방정책, 미국 군사전략 미국 국내정치와 대외정책의 연계성
- 연락처 : 02-961-1856
다음자료 ▲ | 경제집중노선에 따른 북한의 남북군비통제 입장 전망 |
---|---|
이전자료 ▼ | 하노이 이후 최선의 대남 접근법에 대한 북한의 신념체계와 정책적 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