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정기간행물
  • 국방논단

국방논단

NATO 조달 체계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상세보기 화면
제목 NATO 조달 체계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저자 김지수,박준수
호수 제 2010 호
발행일자 2024.10.04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초록


최근 한국 정부는 나토와 여러 방면에서 협력 증진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은 2022년 나토 정상회담에 참석한 이후, 글로벌 안보 파트너로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나토 조달을 통한 방산수출의 가능성도 기대하 고 있다. 하지만 그런 기대가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지를 타진하려면 나토 조달 체계에 관한 면밀한 분석 과 검토가 필요하다. 나토 조달 체계는 나토 조달청이 집행하는 사업으로 구성되며, 2015~2023년 기간 연평균 계약액은 대략 86조 원이다. 이 중 나토 비회원국의 계약은 연간 0.12조 원 정도로, 사실상 비회원 국이 나토 조달에서 기대할 수 있는 시장 규모는 매우 작다. 그러나 시장성 측면에서 크게 기대할 수는 없지만 나토 조달을 통해 공동의 군수 지원과 방산 공급망 협력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도 나토 조달 참여를 고려해볼 만 하다.

한국 입장에서는 구체적으로 나토 조달청의 ‘지원 파트너십’에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지원 파트너십은 나토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통틀어서 공동의 관심 영역을 공유하는 협력체인데, 무기체계 운영 유지, 기술 및 개념 연구, 지원 시스템 분야 등을 대상으로 한다. 여기에 가입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검토할 사항은 ‘템플릿 협정’ 체결이다. 이 협정에는 비회원국이 나토 조달에 참여할 경우 수용해야 하는 법적인 의무 조건이 담겨있다. 일부 조항은 한국 입장에서 부담이 되기도 하고 지원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 후의 상황에 관하여 불확실성도 따른다. 그렇지만 나토 회원국과의 방산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는 점에서 지원 파트너십의 기대 이익은 있다. 향후 나토 조달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토 조달청과 공식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고는 앞으로 더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가기 위한 기본적인 상황 인식과 정보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김지수 (Kim Jisu/金智琇)
  • 부서 : 미래전략실(현안팀)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국제방산협력, 국방과학기술정책, 국방경제, 거시경제
저자 사진
박준수 (Park Joon-soo/朴晙秀)
  • 부서 : 국방자원연구센터(획득방산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국방과학기술정책, 민군기술협력, 국제방산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