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2022년 동북아 안보정세 평가와 2023년 전망 상세보기 화면
제목 2022년 동북아 안보정세 평가와 2023년 전망
저자 이강규
발행일자 2023.01.04
국가 기타
주제 국제전략
발행년도 2023
문서보기
국문 키워드 동북아시아,안보정세 전망,2023년
공유하기


본고에서는 2022년 동북아 안보정세를 회고해 보고, 이를 기반으로 2023년의 정세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글로벌 차원의 안보환경과 한반도의 안보 상황과는 최대한 차별화되는 시각으로 역내 안보정세를 조망해보고자 한다. 동북아시아 혹은 더 넓게는 동아시아를 놓고 볼 때 역내 안보정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국은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을 꼽을 수 있다. 다만,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쳐 글로벌 수준에서 다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남북한의 경우 한반도 수준에서 보다 심도있게 다뤄질 수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각국 관계를 중심으로 미·중·일의 안보정세를 논의하되 한국과 대만을 일부 추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바로보기를 선택하면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이강규 (LEE KANGKYU/李康奎)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방전략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연구실장)
  • 전문분야 : 미중관계
  • 연락처 : 02-961-1814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게시판 화면 화면
다음자료 ▲ 북한의 핵탄두 수량 추계와 전망
이전자료 ▼ 2023년 러시아의 안보정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