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HOME
- 연구보고서
- KIDA Brief
- 국문 KIDA Brief
국문 KIDA Brief
제목 | 하노이 이후 최선의 대남 접근법에 대한 북한의 신념체계와 정책적 함의 |
---|---|
저자 | 박대광,송화섭 |
연구센터 | 안보전략 |
발행년도 | 2021 |
첨부파일 | |
<배경과 목적> 하노이 이후 최선의 대남 전략전술 방향에 대한 북한의 신념체계와 함의 분석 ◎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남북 당국 간의 모든 대화와 접촉을 거부함에 따라 남북관계는 전면적 단절상태에 봉착 ◎ 이러한 북한의 비협력적 행태에 담긴 정책적 의미 분석 - 우리 정부와 남북관계 개선의 가치, 대남 전략전술 방향에 대한 북한정권의 심리상태 분석 - 향후 남북관계의 회복 가능성과 우리의 대북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 도출
<수행 결과> 북한정권의 대남 신념체계 분석, 정책적 함의 도출, 우리의 대북 정책방향 제안 ◎ 하노이 이후 2020년 6월까지의 북한정권의 대남 신념체계 분석 결과와 정책적 함의 - 북한정권은 우리 정부와 남북관계 개선의 가치에 대한 높은 부정적 인식 하에 고강도의 갈등적 · 위험감수형의 대남 전략전술 적용이 최선이라는 신념을 견지 - 그러나 대남 강압수단으로서의 무력사용은 효용성이 매우 낮다는 신념을 견지 - 이는 북한정권이 다소의 남북관계 훼손을 감수하고라도 자신의 대남 정책목표를 최우선 달성하려는 전략으로 전환한 상태이며 따라서 향후 우리 정부가 북한의 핵심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는 한, 남북관계의 조속한 회복이 매우 어려울 것임을 의미 ◎ 우리의 대북 정책방향에 대한 제언 - 큰 틀에서 ‘현재의 대북정책 기조 유지’, ‘북한의 핵심 요구사항 전면 수용’, ‘북한과 동일한 대결적 맞대응정책 추진’ 중에서 선택 가능 - 각 옵션별 이득과 손실을 고려 시, 현재의 대북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북한정권의 추후 행동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해 나가는 것이 최선책일 것으로 판단
|
저자 소개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방전략연구실)
- 직급 : 국방전문연구위원
- 전문분야 : 우주안보전략, 대북정책
- 연락처 : 02-961-1868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미일동맹, 일본군사, 한일협력
- 연락처 : 02-961-1619
다음자료 ▲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연계성 및 시사점 연구 |
---|---|
이전자료 ▼ | 중장기 합동지휘통제·통신 발전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