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HOME
- 연구보고서
- KIDA Brief
- 국문 KIDA Brief
국문 KIDA Brief
제목 | 경제집중노선에 따른 북한의 남북군비통제 입장 전망 |
---|---|
저자 | 이중구 |
연구센터 | 안보전략 |
발행년도 | 2021 |
첨부파일 | |
<배경과 목적> 북한의 경제집중노선에 따른 군사부문 정책방향을 남북군비통제 진전에 활용 ◎ 북한은 2018년 4월의 7기 3차 전원회의에서 “나라의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하여 경제발전 및 인민생활 향상을 추진한다는 경제집중노선을 선포하였으며, 이는 군사부문에도 적용 ◎ 본 연구는 북한이 경제발전 중심의 노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모색할 수 있는 군사부문의 정책방향을 북한의 도발감소와 남북군비통제 진전을 위해 활용할 가능성을 탐색
<수행 결과> 비핵화 진전 과정별 북한의 남북군비통제 입장 전망 및 우리의 대응방안 제시 ◎ 경제집중노선은 김정은 정권의 정당화를 위한 국가전략 - 2018년 초 안보불안 완화로 정권 정당화의 필수과제인 경제발전에 집중할 것을 결정 - 경제집중노선은 7차 당대회의 경제강국건설 목표 달성 및 5개년 전략 수행을 추구 ◎ 비핵화 협상 기간 중 북한 군사부문의 경제집중 노력은 단계적으로 변화 - 비핵화 협상 순항 기간에는 군사부문의 구조적 축소를 검토 - 비핵화 협상 교착 이후에는 군 병력의 경제현장 투입 등 운용적 확대에 방점 ◎ 북한 비핵화 과정 초?중기에 북한의 경제집중 노력은 남북군비통제 요구를 수반 전망 - 제재국면에서 북한의 군사부문은 후방동원을 위해 남북 간의 운용적 군비통제 필요단, 경제사정 악화로 북한 체제내부의 불안이 확대될 경우, 경제집중노선의 기반 약화 및 그에 따른 남북 군비통제 추진 소요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 - 부분 비핵화 시 북한은 군사부문의 구조적 축소를 모색하기 위해 구조적 군비통제 모색 - 완전 비핵화 국면에서는 오히려 북한 입장에서는 군비통제 조건이 저하. 따라서 그에 이르는 과정에서 군비통제의 비가역성 확보 및 적정군사력 논의의 신뢰구축 필요
|
저자 소개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북한군사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북한 핵전략, 북중관계, 한국의 대북정책
- 연락처 : 02-961-1154
다음자료 ▲ | 군 공항 내 미군 대체시설 건설을 위한 한·미 간 역할과 절차 |
---|---|
이전자료 ▼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동 전략의 연계성 및 시사점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