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A 연구물
- HOME
- KIDA 연구물
- 정기간행물
- 국방정책연구
- 국방정책연구
국방정책연구
제목 | 한국군 군사전략의 새로운 구상: 제한전쟁 개념 적용 |
---|---|
저자 | 류인석 |
호수 | 제 131호 |
발행일 | 2021.04.15 |
문서보기 | |
국문 키워드 | 군사전략, 제한전쟁, 제한핵전, 북한의 핵전략, 맞춤형 억제전략 |
영문 키워드 | Military Strategy, Limited War, Limited Nuclear War,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
DOI | http://dx.doi.org/10.22883/jdps.2021.37.1.003 |
공유하기 |
![]() |
한국의 전쟁목표는 궁극적으로 통일을 달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군사전략의 목표는 북한 전지역을 석권함으로써 통일여건을 조성하는 것으로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재앙적인 피해, 북한의 핵사용, 제3국의 군사적 개입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전쟁목표와 군사전략에 제한전쟁 개념을 적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논문은 전쟁목표와 군사전략목표를 중심으로 한국군의 군사전략과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여 보완소요를 식별하고 제한전쟁 개념을 고찰하여 한반도 상황에서의 적용 필요성과 제한전쟁 수행을 위한 한국군 군사전략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군 군사전략 구상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New Thought on Military Strategy of ROK: Application of Limited War Concept
The Korean War was the first major hot war in the Cold War era, which made the great powers deeply aware of the need for a limited war. Technically, the Korean War has not ended. In the case of an all-out war, South Korea sets a goal of defeating attack from North Korea and eventually achieving unification.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military strategy is to occupy the entire North Korean territory based on total war concept. However, anticipated catastrophic damage, North Korea's use of nuclear weapons and possibility of third-party military intervention call for a cold-hearted review of plausibility of existing objectives and strategies. Military strategies can change depending on political objectives which could be affected by combinations of various factors such as political decision, North Korea's war strategy, US-ROK alliance and neighboring countries' strategy. If the political objective and military strategy are too rigid, it will be difficult to take dominance of the war and finish the war under favorable conditions. In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oncept of limited war should be applied to develop military strategy. |
다음자료 ▲ | 북한의 우주개발 위협 현황 분석과 한국군의 대응 방안에 대한 제언 연구 |
---|---|
이전자료 ▼ | 필리핀 두테르테 행정부의 방문군지위협정(VFA) 파기문제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