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보스토치니 정상회담 1년: 러북 협력 평가 및 전망 상세보기 화면
제목 보스토치니 정상회담 1년: 러북 협력 평가 및 전망
저자 두진호,손효종
발행일자 2024.09.11
국가 북한,러시아
주제 국제전략,북한군사
발행년도 2024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2023년 9월 13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보스토치니에서 전격적으로 만난 지 1년이 지났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엄중한 안보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러시아 국가중요시설인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로 초청하는 파격을 선보였다. 국제사회의 비판적 인식과 제재를 의식해 공동선언문을 발표하지는 않았으나 크렘린궁이 “공개해서는 안되는 민감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조한 것으로 보아 러북은 양측 관계를 법률적 기초 위에 세우고 전방위적인 협력을 전개하기 위해 정치, 경제, 군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협력에 합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러수교 및 제6공화국 시작과 함께 전개된 ‘북방정책’의 영향으로 ‘잊혀진 동맹’으로 전락했던 러북관계는 2024년 6월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계기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수직 상승했고,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통치 시기 러북관계는 흐루쇼프 서기장과 김일성 주석 시기, 푸틴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기보다 높은 수준으로 격상되고 있다.


러시아와 북한 간 이익의 접점이 확장됨에 따라, 양국 관계는 양적, 질적 차원에서 전례 없이 확대되고 있다. 러북은 거시적 차원에서 국제 안보환경과 역내 정치 질서에 현상변경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한다. 러북의 신냉전 개념과 현상변경 욕구 등 구조적 측면에 대한 현재 인식이 지속된다면, 단기적 차원을 넘어 중장기적 차원에서 러북관계를 관찰하고 대응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바로보기를 선택하면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두진호 (Doo Jinho/杜眞浩)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한반도안보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 전문분야 :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 러시아 군사전략, 한러관계, 북러관계, 우크라이나 전쟁 전훈, 비전통 안보위협, 유라시아 통합
저자 사진
손효종 (SON HYOJONG/孫孝宗)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한반도안보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 전문분야 : 북한 정치/군사, 북한핵전략, 북한 대외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