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KIDA 안보전략 FOCUS

KIDA 안보전략 FOCUS

북한 핵지휘통제체계의 안정성 확보 필요 상세보기 화면
제목 북한 핵지휘통제체계의 안정성 확보 필요
저자 부형욱
발행일자 2025.08.12
분류 핵안보연구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 북핵 협상 현실 인식

  - ‘어게인 2018’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현 상황이 그리 녹록지 않음.

  - 북핵의 ‘몸값’은 상승한 반면, 하노이 노딜로 비핵화 협상에 대한 북한의 불신 심화

  - 유의미한 협상 재개가 어렵다면, 차선책으로 ‘북핵 안정성’ 확보 논의가 시급


◎ 북한 핵전력의 불안정한 구조

  - 北 핵무기 운용은 조기경보, 전장 가시화 역량 부족으로 비합리적 선택 위험 존재

  - 전략문화상 지도자의 공격성과 과시욕이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 초래

  - 고비용의 핵무기 배치·표적 할당·방어보다 탄두 수량 확대에만 집중

  - 현재 북한 핵지휘통제체계(NC2)는 불안정한 상태로 추정


◎ 핵무기 운용의 불안정성 인식 필요

  - 냉전기 우발적 핵위기 사례 다수 존재 (NORAD 오경보, 에이블 아처, 페트로프 사건 등)

  - 과거 미국 등 핵보유국에서 핵 운용인력의 음주·약물 문제로 사고 위험 노출

  - 북한 사회 및 군내 약물·음주 문화 확산은 핵 안전성에 더 큰 우려 요인으로 작용


◎ 북한의 우발적 핵 사용 가능성 문제 제기

  - 북한은 안정적 핵지휘통제체계를 보장하는 위성·조기경보체계·통신인프라 등이 취약

  - ‘죽은 손(Dead Hand)’ 방식 채택 가능성 존재 → 지도자 유고 시 자동보복 실행

  - 운용인력의 기강 해이와 결합되면, 극단적 위기상황 발생 가능성 상존


◎ 정책적 제언

  - 북한이 최소한의 핵지휘통제체계 안정화 조치를 취하도록 국제사회 촉구 노력 필요

  - 사용승인체계(PAL) 등 현대적 보안체계 도입을 요구하고, 중·러에 책임있는 역할 요구

  - 북한의 우발적 핵사용 방지가 비핵화만큼 중요한 목표로 다뤄져야 할 필요

저자 소개

저자 사진
부형욱 (BOO HYEONG WOOK/夫炯旭)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핵안보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국방전략, 위기관리, 군비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