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KIDA 안보전략 FOCUS

KIDA 안보전략 FOCUS

제3차 핵시대에 따른 확전 위험과 한반도 시사점 상세보기 화면
제목 제3차 핵시대에 따른 확전 위험과 한반도 시사점
저자 부형욱
발행일자 2025.08.26
분류 핵안보연구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 제3차 핵시대 논의 배경

  - 비핵전략무기(SNNW)/전략재래식무기(SCW)와 핵무기의 결합, AI·사이버 등 최신 기술과 핵무기의 결합으로 국제 핵 정치의 양상 변화

  - 주요국 간 핵 군비경쟁의 열기가 다시 뜨거워지고, 국제 핵비확산 레짐과 군비통제 체제가 느슨해짐.


◎ 제1·2·3차 핵시대의 주요 특징

  - 제1차 핵시대: 미·소 중심. 핵 담론 및 전략이 소수에 의해 독점되던 시기

  - 제2차 핵시대: 제한된 핵 능력을 갖춘 국가들의 등장과 새로운 억제전략인 맞춤형 억제전략 등장

  - 제3차 핵시대: AI·사이버·극초음속 미사일·우주전 등 최신 기술이 확산되고, 이들이 핵무기와 연계되어 전략적 임무를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


◎ 제3차 핵시대와 웜홀 확전(wormhole escalation)의 위험성

  - 웜홀 확전: 국지적인 갈등이 핵 사용으로 급격하게 격상되는 상황을 묘사하는 개념 

  - 특히, 사이버 공격과 AI 기반 전술이 확전을 급격히 고조시키고, 통제 불능 상태로 이끌 가능성에 주목


◎ 한반도 상황에서의 함의

  - 현재 북한은 공세적 군사전략을 채택하고 한국은 자위권적 선제타격 개념을 도입

  - 북한은 ‘핵을 사용하지 않으면 핵을 잃을 수 있다’라는 강박적 우려에 노출될 가능성

  - 전략적 불안정 상황: 낮은 단계의 군사적 충돌이 빠르게 핵전쟁으로 확전될 위험 상존

  - 사이버, 전자전 등 비물리적 수단을 이용한 핵 억제력 강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웜홀 확전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저자 소개

저자 사진
부형욱 (BOO HYEONG WOOK/夫炯旭)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핵안보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국방전략, 위기관리, 군비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