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KIDA 안보전략 FOCUS

KIDA 안보전략 FOCUS

북·러 군사협력에 의한 북한 군수산업 영향과 군사능력 변화 상세보기 화면
제목 북·러 군사협력에 의한 북한 군수산업 영향과 군사능력 변화
저자 이중구
발행일자 2025.03.12
국가 기타
주제 북한군사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 러·우전쟁 중 러시아의 탄약 및 병력 부족이 심화하면서, 북한은 대규모 군사 장비를 지원하며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지원과 군사기술 등을 확보

 

◎ 북·러 군사협력은 북한 군수산업 부문의 무기생산과 무기개발 분야의 발전을 촉진

  - 러시아의 탄약·무기수요 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북한은 군수생산을 활성화하면서 북한군이 필요한 전술·전략미사일 발사차량 등의 생산확대와 생산현대화를 함께 달성

  - 대(對)러 군사기술 협력을 통해 우주, 항공, 방공, 무인기 등 선진군사기술도 확보

 

◎ 이는 북한의 핵역량 증강과 재래식 전력 현대화를 동시에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

  - 특히, 대남 재래식 도발만이 아니라, 향후 대미 전략도발 능력도 확대됨을 의미

 

◎ 이에, 한국은 외교·정보·군사·경제(DIME) 수단을 동원하여 북·러 군사협력에 따른 북한의 위협 증대에 대응 필요

  - ▲북·러 간 공급망 형성 대응, ▲러시아에 대한 ‘대북 군사장비 및 기술이전 자제’ 요청, ▲북·러 간 기술협력에 대한 제재, ▲북한의 향후 도발에 대비(지상, 공중, 해상, 수중, 전략미사일 등) 등을 위해 외교·정보·군사·경제적 조치를 총동원

  - 트럼프 정부에 북·러 군사협력의 종식(북·러 디커플링)이 러·우전쟁의 조기종전과 북한 비핵화의 필수적인 조치임을 강조하고, 미국과의 공동보조를 모색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이중구 (Lee Choongkoo/李重九)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신흥안보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 전문분야 : 신흥안보, 미중관계, 북한 군사, AI/지능화전, 핵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