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정기간행물
  • 국방논단

국방논단

어뢰 및 어뢰대항책의 발전 추세와 시사점 상세보기 화면
제목 어뢰 및 어뢰대항책의 발전 추세와 시사점
저자 이동수, 변유진, 박수현
호수 1529
발행일자 2014.08.25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우리 군은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어뢰 공격의 위험성을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에 어뢰 그 자체뿐만 아니라 어뢰대항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오늘날의 어뢰는 표적의 항적 및 방사소음을 자체적으로 분석•추적하여 표적을 타격하는 능동적인 무기체계로 발전하고 있다. 어뢰의 발전에 대응하여, 어뢰대항책 역시 단순 회피기동으로 어뢰의 위협에서 벗어나는 수동적인 전술보다는 탐지와 유도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어뢰의 위협을 무력화시키는 선제적 대응전술이 핵심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요국의 어뢰 그리고 어뢰대항책의 핵심인 기만기의 운용 현황과 발전 추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로부터 북한 어뢰전력의 특수성을 고려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우리 군은 어뢰대항책의 복합 운용을 통해 함정 생존성을 향상시키고, 실제 환경을 반영한 기만무기체계 평가방안을 구축하며, 하드 킬 방식의 요격어뢰를 확보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


 

저자 소개

연구진 사진_emp
이동수 (DONGSOO LEE/李東洙)
  • 부서 : 전력투자분석센터(획득사업분석단-사업분석1팀)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획득사업분석, 시설분야 사업타당성조사
저자 사진
박수현 (Park Soohyeon/朴壽鉉)
  • 부서 : 전력투자분석센터(비용분석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총사업비분석 및 비용분석 방법론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게시판 화면 화면
다음자료 ▲ 중국 군사력 건설의 기반요인 분석
이전자료 ▼ 군사전략과 합동작전개념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