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정기간행물
  • 국방논단

국방논단

한국군 정년제도 변화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제언 상세보기 화면
제목 한국군 정년제도 변화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제언
저자 안석기,박민섭
호수 2030
발행일자 2025.02.17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한국군의 정년제도는 1993년 군인사법이 개정된 이후 2023년 소령 정년연장을 제외하고 30년 넘게 동일한 정년연령을 유지하고 있다. 군인 정년제도 변화의 필요성은 다양하다. 현시점에서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은 미래 간부인력운영 측면이다. 청년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악화되어 가는 군복무인력의 획득난 등으로 인해 미래 간부인력규모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소수획득 장기활용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인력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활용이라는 인력정책 추진, 즉 전문성이 있는 장기복무인력 확보와 유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 중에서도 정년연령 연장은 현시점에서 불가피하게 검토되어야 할 주요 정책 수단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 장기복무 유도와 군인 개인의 안정된 삶을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계급별 정년연령 설정의 기반이 되었던 30년 전 군인생애주기가 변화되었다는 점, 여타 직업군과의 불형평성 심화 등을 고려하여 보다 긴 복무를 가능하게 하는 정년연령 연장을 통한 직업성 제고가 요구된다. 군인 정년연령의 변화로 과거와 다른 체력과 연령 등 새로운 내적 인력구성구조와 복무패턴의 형성이 전망된다. 따라서 정년 변화를 통해 의도한 효과 외에 정년연장의 과도기간 진급과 전역인원의 편차, 인사적체, 체력 및 지휘부담, 인건비 증가 등 불안정한 인력운영 변화상황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검토와 추진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안석기 (Ahn Seok-ki/安石基)
  • 부서 : 국방인력연구센터(인력·조직정책연구실)
  • 직급 : 책임연구위원
  • 전문분야 : 인력관리, 병역정책, 조직관리, 공공관리
저자 사진
박민섭 (Park Minseop/朴旻燮)
  • 부서 : 국방인력연구센터(인력·조직정책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인력정책, 인력분석